공학수학 (1) (Engineering Mathematics (1))
본 과목에서는 공학문제에서 발생하는 현상의 이해 및 해석을 위한 미분방정식의 의미와 해법에 관해 학습한다. 1계미분방정식, 선형2계미분방정식, 고계미분방정식에 대해 학습하며 특히 공학문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라플라스 변환을 심도있게 학습한다.
기계제도 (Engineering Drawing)
기계도면을 사용하여 기계장치, 설비 및 제품에 대한 설계 개념을 구체화하고 설계내용을 정확히 표현하는 표준과 원칙을 학습한다. 먼저, 3차원 형상의 물체를 도면으로 작성하고 역으로 도면으로부터 형상을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정확한 형상전달과 제작을 위한 기계제도의 개념, 원칙과 제품의 품질, 가공을 위해서 중요한 공차 등의 기계제도의 개념을 학습한다. 또한 실제적인 도면작성 실습을 통해 숙련되도록 하고 상용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계도면을 작성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재료역학 (Strength of Materials)
외력에 의한 굽힘 모우멘트 등에 대한 물체의 변형과 응력의 발생 분포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간단한 공학적 모델을 응용연습하여 기계설계의 기초를 기른다.
열역학 (Thermodynamics)
열과 에너지의 이론 및 응용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다. 열의 기본 개념, 열과 물질의 상태변화, 밀폐계와 개방계에 대한 질량 방정식 및 열역학 1법칙 적용, 열역학 2법칙, 열기관의 효율, 엔트로피와 엑서지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응용과 관계된 가스 동력 사이클, 랭킨 사이클, 냉동 사이클과 각종 열시스템들을 해석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전기전자개론 (Introduction to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본 교과목에서는 기본적인 전기 및 전자 회로를 이해,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고양하기 위해 전기회로에 대한 개념과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기본 소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매주 실습을 통해 실제로 전기·전자 회로를 구성해 보고 기본 계측기를 사용하여 동작 특성을 확인해 봄으로써 회로 분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재료과학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본 과정에서는 재료의 구조에 대한 기본 지식의 습득과 이해를 통해 재료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기계공학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디자인과 공학(Introduction to Design Engineering)
제품개발과정에서 디자인은 외형과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제품개발의 전 과정에 걸쳐 수행된다. 디자인이란 무엇이며 지난 수십 년 간 디자인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자인프로세스, 디자인방법론을 이해하고 실제 제품개발에서의 디자인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된다. 더불어 몇 가지 간단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과제를 수행해 봄으로써, 사용자 중심 디자인(UX)을 이해하고 이를 공학적 제품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게 된다. 본 교과목을 통하여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응용 능력을 가지며 창의적인 공학 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2학기
공학수학 (2) (Engineering Mathematics (2))
공학 문제를 이해하고 이의 해석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수학으로 벡터와 행렬, 선형대수학, 벡터해석, 편미분방정식, 복소수해석에 대해 학습한다.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수학적 해법의 적용과정을 소개하여 중요성과 활용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유체와 관련된 이론 및 응용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유체의 정의 및 상태량, 유체 동력학, 유체 운동학, 질량 방정식, 에너지 및 베르누이 방정식, 선운동량 및 각운동량 방정식, 차원해석과 상사성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응용 분야라 할 수 있는 내부유동 및 외부유동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유체역학에 대한 미분학적 분석의 시작이 되는 Navier-Stokes 방정식의 기본내용을 배운다.
동역학 (Dynamics)
동력학은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해석하고 다루는 역학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정지상태에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다루는 정역학을 이해한 후 동력학을 공부하게 된다. 동력학은 크게 운동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운동학과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운동역학의 두 분야로 구분한다.
CAD (Computer Aided Design)
컴퓨터가 기계의 설계와 생산에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파악하고 그 이론적 기초지식으로서 컴퓨터 그래픽, 형상모델링 등에 관해 학습한다. 기계공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3차원 CAD 소프트웨어의 활용법을 익혀 설계와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공학프로그래밍 (Engineering Programming)
복잡한 공학문제를 쉽게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컴퓨터를 이용한 공학문제 해결에 가장 적합한 컴퓨터언어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매트랩 (MATLAB)을학습함으로써, 복잡한 공학연산, 수치해석, 2D/3D그래프 작성, 그리고 GUI 프로그래밍 을 할 수 있는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강의를 통해학생들은 매트랩의 기본적인 문법, 툴 사용 방법 및응용 능력을 다양한 실습 예제를 통해 습득하고, 향후 매트랩을 활용한 실제 문제해결 시에는 주도적인추가 학습을 통해 프로그래밍 능력을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구메커니즘 (Kinematics of Machinery)
모든 기계시스템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이 주어지면 운동 및 힘을 전달하는 기구 또는 기구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기구들에 대한 일반적 지식들을 숙지하고, 기구 운동 해석을 위한 위치 및 변위해석, 속도해석, 그리고 가속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또한 실제의 기구들 즉 캠, 링키지 등의 운동해석 및 설계에 관한 제반 이론들을 학습하고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기구 시스템을 실제로 설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본 과정은 또한 기계역학 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 과정으로 활용된다.
응용재료역학 (Applied Mechanics of Materials)
재료역학에 관한 응력과 변형율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기계 및 장치의 구조(강도)설계시 응용능력을 습득하기 위해 재료역학적 개념이 필요한 여러 응용문제를 다룬다. 특히 평면응력 및 평면변형율, 비틀림과 굽힘을 받는 보의 해석과 설계문제에 집중하여, 응용능력을 키우고, 관련된 구조물의 공학적 문제를 해석하고,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디지털과사물인터넷 (Digital and IOT)
본 교과목에서는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오픈 하드웨어와 오픈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쉽고 빠르게 지능을 갖는 장치를 만들 수 있다. 기본적인 디지털 지식을 시작으로 PC 시리얼통신과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WiFi 등 유무선 통신으로 센서나 모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등, 생산현장이나 일상생활에서 정보를 수집 전달하여 활용 가능하도록 사물인터넷을 다루는 기초적인 능력을 갖출 수 있다.
아나로그반도체공학 (Analog Semiconductor Circuits)
전기전자회로에 사용하는 기초소자의 성질과 응용회로를 보충한 후 교류이론, 전력전자, 전기기계 등의 현장위주의 응용분야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기계공작법 (Manufacturing Process)
기계 부품을 제작 및 가공하기 위한 각종 공작 방법에 대해 전문적 지식을 쌓는다. 주조, 용접, 절삭, 소성가공 등의 전통적 제작법을 이해하여 제조기술 과정에 대한 공정 계획과 생산 설계 능력을 쌓게 되며, 최신의 전기․전자적, 화학적 특수가공법과 반도체 제조공정, 초정밀가공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전망, 활용 테크닉 등을 습득한다.